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. 여랑야랑, 정치부 김민지 기자와 함께 합니다. 첫 번째 주제 보시죠. "법대로". 앞서 화물연대 파업과 관련해 윤석열 대통령이 했던 말인데요. <br><br>맞습니다. 그런데 윤 대통령이 문재인 전 대통령 양산 사저 시위에 대해서도 이 말을 했습니다. <br> <br>오늘 처음으로 입장을 밝힌 건데요, 출근길 답변 들어보시죠. <br><br>[윤석열 대통령(오늘)]<br>(Q. 양산 사저 시위 어떻게 보나) <br>"글쎄 뭐 다 대통령 집무실도 시위가 허가되는 판이니까 다 법에 따라서 되지 않겠습니까."<br><br>Q. 대통령 집무실도 시위하는데, 법대로 하면 막을 수 없지 않냐 이런 뉘앙스로 느꺼지네요. <br><br>야권에선 비교가 잘못됐다는 비판도 나왔는데요. <br><br><br><br>민주당 박용진 의원은, "현 대통령을 향한 시위와 전직 대통령에 대한 시위가 같냐"며 "졸렬한 상황인식"이라고 했습니다. <br><br>Q. 민주당에선 대통령이 직접 조치를 취하라고 계속 압박하고 있죠. <br><br>네. 윤 대통령이 이런 말도 하지 않았냐고 하는데요. <br><br>[윤석열 대통령 / 취임사(지난달 10일)]<br>"어떤 개인의 자유가 침해되는 것이 방치된다면 나와 우리 공동체 구성원의 자유가 위협받게 되는 것입니다."<br> <br>문 전 대통령도 국민의 한 사람이니, 보호받아야 한다는 취지인데, 민주당의 지적이 일관적이지 않다는 비판도 있습니다. <br><br>민주당은 2017년 이명박 전 대통령 구속을 외치며 자택 앞에서 수 개월간 열린 집회에 직접 참가해 독려하기도 했었거든요. <br><br>[박영선/ 당시 더불어민주당 의원 (2017년 12월)]<br>"늙은 쥐를 잡는 쥐잡이 특공대. 오죽하면 제가 쥐를 잡겠다고 여기까지 왔겠습니까?" <br><br>Q. 어쨌든, 경찰이 사생활의 평온을 해친다며 양산 집회를 일부 제한했다는 보도를 봤는데, 현장은 여전히 시끄럽나요. <br><br>저희 취재진이 오늘 다시 가봤는데요. <br><br>이전과 비교해 훨씬 조용해진 모습이었습니다. <br> <br>일부 시위자들이 여전히 고성을 지르고는 있지만 시위 방송 차량의 음악 소리도 가까이에서만 들릴 정도로 작아졌다고 합니다. <br><br>Q. 윤석열 대통령이 오늘 서울 종로에 깜짝 등장했다면서요? <br><br>종로의 한 피자가게에서 점심식사를 하는 모습이 시민들에게 포착돼 SNS로 먼저 알려졌는데요. <br> <br>최상목 경제수석의 생일을 맞아 축하 겸 참모들과 찾았다고 합니다. <br><br><br>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조롱과 꽃, 무슨 관계가 있나요? <br><br>이재명 민주당 의원 강성 지지자들의 비판과 응원의 표현입니다. <br><br>먼저 홍영표 민주당 의원에게는 조롱의 의미로 이걸 보냈습니다. <br><br>Q. 뭔가요. 문부터 바닥까지 대자보가 붙어있네요.<br> <br>홍 의원의 인천 지역구 사무실인데요. 대자보에는 "치매가 아닌지 걱정된다"며 치매 예방센터 번호까지 적혔습니다. <br> <br>어제 홍 의원의 이 발언 때문입니다.<br><br>[홍영표 / 더불어민주당 의원(어제, KBS '최경영의 최강시사')]<br>"우리가 가장 패배했던 큰 원인 중의 하나가 이재명 의원이 계양으로 나서고 송영길 서울시장 후보, 이게 이제 결정적인 원인이다.(이재명 출마를) 다 반대했었죠, 많은 사람은." <br><br>대자보 소식이 전해지자, 반대로 친문 지지자들은 홍 의원실에 응원 글을 도배하자며 맞불을 놓기도 했습니다. <br><br>Q. 의원들 뿐 아니라 지지자들도 친문, 친명 내부 경쟁이 치열하군요. <br><br>네, 오늘 국회에 첫 출근한 이 의원에겐 응원의 꽃이 가득 놓였는데요. 역시 지지자들의 선물입니다. <br> <br>영원히 지지하겠다, 함께 하겠다고 적힌 화환이 국회 정문부터 늘어섰습니다. <br><br><br><br>Q. 마지막 주제 보겠습니다. 명언 재활용, 예전 대통령 얼굴이네요. <br><br>요즘 예전 대통령의 명언이 부쩍 정치권에서 회자되고 있는데요. <br><br>이낙연 전 대표, "인생은 아름답고 역사는 발전한다"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명언을 인용했습니다. <br> <br>오늘 미국으로 떠났죠. 과거 영국 유학을 다녀온 후 대선에 재도전해 성공했던 김 전 대통령 사례를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옵니다. <br><br>민주당 복당 의지를 밝힌 박지원 전 국정원장도 SNS에 같은 말을 올리며 각오를 다졌습니다. <br><br>Q. 그러고보면 정치 상황도 반복되는 것 같기도 하고요. <br><br>정치인들 어록 출처를 찾아보면 전직 대통령인 경우가 꽤 많습니다. <br><br>[고 김영삼 전 대통령 (1979년 10월)]<br>"아무리 닭의 목을 비틀지라도 새벽이 온다고 믿었습니다." <br> <br>[윤석열 / 당시 국민의힘 대선 후보 (지난해 11월)]<br>"닭의 목은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고 이렇게 국민들께 용기를 북돋아 주셨고…." <br> <br>[고 김대중 전 대통령 (1975년 4월)]<br>"행동하지 않는 양심은 결국 악의 편이라고…." <br> <br>[심상정 / 당시 정의당 대표 (2019년 8월)]<br>"행동하지 않는 양심은 악의 편이라 했습니다. 남은 열흘은 행동해야 할 시간입니다." <br> <br>[고 노무현 전 대통령 (2007년 6월)]<br>"민주주의 최후의 보루는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입니다." <br> <br>[이재명 /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(지난 3월)]<br>"'민주주의 최후 보루는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이다' 맞습니까? 여러분을 믿겠습니다." <br><br><br><br>좋은 말만 따라하지 않고 행동으로 보여줘야 더 의미있겠죠. <br><br>Q. 지금 들어도 내용은 참 좋은 말들이에요. 여랑야랑이었습니다.<br> <br>구성: 김민지 기자·김지숙 작가 <br>연출·편집: 정새나PD·배영진PD <br>그래픽: 유건수 디자이너 <br>영상취재 : 김덕룡 기자<br /><br /><br />김민지 기자 mj@donga.com